특히나 저금리 시대에 있어서는
은행 예금이나 적금보다는
비교적 고위험일지라도
고수익의 가능성이 있는 펀드나
주식에 매달리는 사람들이 증가하게 되는데,
아무리 주식투자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져도
성공하는 경우보다 실패하는 경우가
더 많은 듯 하다.
대체 그 이유는 무엇일까.
주식투자 에 실패하는 이유
동전 주식을 좋아한다
주가는 주식의 얼굴이다.
그런 주가가 만약 몇백원이 되지 않는다는 것은
심각하게 문제의식을 집중해야 할 사안일 수가 있다.
주식을 도박성으로 가져갈지,
아니면 투자로 가져갈지에 대한 것은
본인이 선택하기 나름이지만
#동전주 는 #저가주 #가치주 가 될 수 없다는 것을
명심하도록 하자.
내 마음대로 투자
주식 관련 서적에서나
여기저기서 주식을 배울 때 많이 듣는 말이
바로 손절매의 원칙을 철저히 준수하라는 것이다.
하지만 본인만의 손절매 원칙을 가지고 철저하게
그 원칙을 지키며 투자에 임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손해를 보면 절대로 주식을 팔지 않는다는
본인만의 원칙을 가진 사람이 의외로 꽤 많은 것이다.
내 종목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
여러가지 처한 상황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자신이 산 종목에 대한 절대적인 믿음과 신뢰를 바탕으로
무작정 간다는 것은 주식투자에 있어서는
정말 위험한 발상이다.
가끔은 과감하게 쳐낼 수도 있어야
주식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
쉬운 것 같으면서 어려운 것이 주식투자라고들 한다.
상승장에서는 쉽게 벌 수 있지만,
하락장에서는 쉽게 수익 취득을 하기 힘든 것이 주식시장이며
상승장이나 하락장의 여부도 길게 바라보며
꾸준한 경험이 쌓이지 않으면
알차챌 수 조차 없다.
주식투자를 할 때 중요한 것은
바로 #주식투자리스크 관리이며
이는 투자한 자신의 재산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물론 잃지 않는 것이 쉽지는 않겠지만,
그렇다고 어려운 것만도 아닌데,
크게 욕심만 내지 않는다면
잃지 않는 일이 보기보단 쉽다.
너무 많은 기업에 관심을 두지 마라
항상 남의 떡이 더 커보이기 마련인 것이며,
많은 종목에 관심을 두면
산만함에 따른 판단력 상실로
가장 중요하다 할 매수 타이밍을 놓치게 된다.
자신이 상세히 파악한 몇 종목 안에서만 매매하고,
단기급등하는 종목은 가급적 멀리하는 것이 좋다.
메카니즘 파악이 안된 상태에서
묻지마 투자가 되기 십상이기 때문이다.
좋은 기업을 사라
좋은 기업은 돈을 잘 버는 회사를 뜻한다.
되도록이면 영업이익률과 ROE가 높은 회사,
미래가치가 큰 업종 중 수익성이 높은 회사가 좋은 회사이다.
돈을 잘 버는 기업이라도,
진입장벽이 낮다면 멀리하는 것이 좋으며,
사양산업이라고 한다면
크게 오르지 못한다는 사실도 알아두어야 한다.
길게 보고 투자하라
단기간에 오를 거라는 환상은 버려야 한다.
최소 2년은 내다보고 투자해야 하는 것이
주식투자이며,
그리고 운 좋게 바로 오르게 된다면,
과감하게 절반 정도는 수익실현을 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수익실현 후, 계속 오르게 되면 남은 절반으로 만족하고
다시 떨어지면 재매수하는 것이 좋으며
이 때 수익금은 헷지하거나 계좌이체 하도록 한다.
공부하고 또 공부하라
투자한 기업의 사업보고서나 분기보고서를 꼼꼼하게 살펴보고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
미래가치가 높은 산업, 미래가치가 높은 종목에 대해서 공부하고
관련 서적을 가까이 두고 학습하도록 한다.
오히려 직접적인 #주식공부 는 하지 않는 것이 좋을 수가 있으며
주식사이트와 토론방도 멀리 하는 것이
조급증을 탈피하고 냉정한 #주식투자마인드 를
s2 #주식투자 #주식재테크
※ 상기 글 중 일부 내용에 소정의 수수료를 받는 조건의 링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증권.채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증권] 돈버는 주식투자를 위한 몇 가지 노하우 (0) | 2018.03.01 |
---|---|
[펀드] 저금리 시대의 부자되는 재테크법-펀드투자.펀드환매의 노하우 (0) | 2018.02.21 |
[재테크.주식투자] 저금리 시대엔 펀드 포함한 노후 재테크를 (0) | 2017.12.26 |
[재테크] 채권.성공주식투자-위기상황시의 재테크 전략 및 위험자산 투자 (0) | 2017.11.21 |
[재테크.증권] 주식투자성공-똑똑한 배당주 투자법 (0) | 2017.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