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퍼리치라 함은 보통 금융자산 10억원 이상을 보유한 자산가를 말하며,
우리나라 슈퍼리치는 국내 전체 인구의 0.3%수준이지만
이들의 자산은 전체 가계 금융자산의 18% 정도로 엄청나다고 한다.
이들의 자산 투자 패턴을 살펴보면
1970년대 이후 2000년대 중반까지는 부동산 투자가 주를 이뤘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금융투자로 눈을 돌렸다.
최신판 한국 슈퍼리치들의 투자 패턴은 어떠할까.
우리나라 슈퍼리치들은 월 3천9백만원 벌어 1천만원 지출
국내에 금융자산을 10억원 이상 보유한 ‘슈퍼리치’는 15만여 명이며 이들이 보유한 금융자산은 대략 5백조 가까이에 이른다고 한다.
부동산 투자 비중이 높았던 과거와 달리,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펀드, 채권, 주식 등에 대한 투자를 늘리면서
금융자산과 부동산 비율은 55대 45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슈퍼리치의 수입원은
통계청 조사에 나타난 소득 상위 20% 계층의 수입원은 근로소득 62.6%, 사업소득 30.3% 이다.
이들과 비교해봤을 때 한국의 슈퍼리치는 재산소득 비중이 높고 근로소득 비중이 낮다.
슈퍼리치의 나이별 분포는 40대 이하 23.9%, 50대 30%, 60대 27.3%, 70대 이상 18%, 기타 연령 0.8% 이다.
이들은 월평균 3천9백11만원을 벌어 1천14만원 (연금·사회보험비 제외하면 8백31만원) 을 사용하며, 한국인 평균과 비교했을 때 의류·잡화 구입비, 가사 서비스비, 문화·레저비의 지출 비율이 높다.
월평균 지출은 나이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데, 40대 (1천65만원)와 70대 (1천36만원) 가 씀씀이가 큰 반면, 50대 (9백85만원)와 60대 (9백68만원) 는 다소 지출 규모가 적은 편이다.
자산 규모가 클수록 부동산 투자 줄이고 금융자산 늘려
전체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슈퍼리치 모든 자산 계층에서 42~46%로 일정한 데 반해, 금융자산에서 금융부채가 차지하는 비율은 자산 규모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난다.
금융자산 1백억원 이상 부자들의 부채 비율은 13%이고, 금융자산 30억~50억원 미만 부자의 경우에는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의 비율이 29%로 높아지며,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30억원 미만인 부자의 경우는 금융부채의 비율이 49%로 크게 높아진다.
금융자산이 상대적으로 낮은 초기 부자들일수록 적극적으로 부채를 활용하면서 부동산 투자를 통해 자산 증식을 도모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금융자산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투자 포트폴리오도 다변화되고 있는 양상이다.
다만 전체적인 투자는 안정성을 중시하는 보수적 패턴이다.
전체 금융자산 중 예금 41.7%, 펀드 24.5%, 보험 및 연금 19.8%, 주식 13.8% 등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은 금융자산 10억~30억원 부자 그룹의 경우 예금( 결제성 및 저축성 예금 포함) 비중이 가장 높고 주식 및 펀드 투자 비중은 낮은 반면, 보유 자산 규모가 커질수록 그 반대의 현상이 나타난다는 점이다.
금융자산 10억~30억원 부자 그룹의 경우 예금 비중은 46%, 주식 및 펀드 투자 비중은 35%인 데 반해 금융자산 1백억원 이상 부자 그룹인 경우에는 예금 비중이 30%로 낮아지고 주식과 펀드의 비중은 47%로 높아진다.
또한 자산 규모가 크고 사업소득 및 근로소득의 비중이 높은 사업가나 기업 임원의 경우는 예금 비중이 35% 내외인 반면 주식 및 펀드 투자 비중은 44~50%로 비교적 높다.
반면 상대적으로 자산 규모가 작은 회사원이나 재산소득의 비중이 높은 은퇴생활자 등은 예금 비중이 46% 내외로 높고 주식 및 펀드 투자 비중은 30% 내외로 낮다.
이러한 한국 슈퍼리치의 투자 패턴은 시장을 한발 앞서가면서도 실리적이기 때문에 실제
각 개인이나 가정에서 투자할 때 참고할 만하다는
전문가 의견이 많다. s2 #재테크방법 #슈퍼리치자산투자법 ※ 상기 글 중 일부 내용에 소정의 수수료를 받는 조건의 링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